풍수지리 입문자편11. 9층 패철(나경)에서 8층의 명칭과 사용법, 천반봉침
8층 천반봉침9층 패철에서 8층 천반봉침은 물의 흐름을 살피는 층입니다. 8층 천반봉침은 4층 지반정침과 6층 인반중심과 동일하게 24칸으로 나눠져 있는데, 구성 또한 동일하게 십이지지 12자와 십천간 중 방위에서 중심을 의미하는 무(戊), 기(己)를 제외한 8자, 사유 자인 건(乾), 곤(坤), 간(艮), 손(巽) 4자가 모여 총 24자가 모여있습니다. 십이지지 12자 :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십천간 중 8자 : 갑(甲). 을(乙), 병(丙), 정(丁),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사유 글자 4자 : 건(乾), 곤(坤), 간(艮), 손(巽) 그리고 풍수에서 물은 양이오 산은 음으로,..
풍수지리 입문자편9. 9층 패철(나경)에서 6층의 명칭과 사용법, 인반중침
6층 인반중침 9층 패철에서 6층 인반중침은 산의 지형을 살피는 층입니다. 6층은 24칸으로 나눠져 있는데, 4층 지반정침의 내용과 일치합니다. 십이지지 12자와 십천간 중 방위에서 중심을 의미하는 무(戊), 기(己)를 제외한 8자, 사유 자인 건(乾), 곤(坤), 간(艮), 손(巽) 4자가 모여 총 24자가 모여있습니다. ◎십이지지 12자 :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십천간 중 8자 : 갑(甲). 을(乙), 병(丙), 정(丁),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사유 글자 4자 : 건(乾), 곤(坤), 간(艮), 손(巽) 그리고 풍수에서 물은 양이오 산은 음으로, 6층 인반중침은 4층 지반..
풍수지리 입문자편7. 9층 패철(나경)에서 4층의 명칭과 사용법, 지반정침
4층 지반정침 4층 지반정침은 좌향(坐向)을 결정하는 중요한 층으로 패철의 중심이자 기초가 되는 층입니다. 4층은 십이지지 12자와 십천간 중 방위에서 중심을 의미하는 무(戊), 기(己)를 제외한 8자, 사유 자인 건(乾), 곤(坤), 간(艮), 손(巽) 4자가 모여 총 24자가 모여있는 층입니다. 십이지지 12자 :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십천간 중 8자 : 갑(甲). 을(乙), 병(丙), 정(丁),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사유 글자 4자 : 건(乾), 곤(坤), 간(艮), 손(巽) '0좌0향의 묘이다' 그렇다면 이 4층을 보고 어떤 좌향의 묘인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음택풍..
풍수지리 입문자편6. 9층 패철(나경)에서 3층의 명칭과 사용법, 삼합오행
3층 삼합오행 패철에서 3층은 삼합오행이 있는 층으로 입수와 득수, 파구를 고려한 묘의 위치를 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삼합오행이란 3가지 지지가 모여 오행의 기운을 생성하는 것으로 원숭이띠(신:申), 쥐띠(자:子), 용띠(진:辰)가 모여 수(水)의 기운을, 돼지띠(해:亥), 토끼띠(묘:卯), 양띠(미:未)가 모여 목(木)의 기운을, 뱀띠(사:巳), 닭띠(유:酉), 소띠(축:丑)가 모여 금(金)의 기운을, 호랑이띠(인:寅), 말띠(오:午), 개띠(술:戌)가 모여 화(火)의 기운을 생성합니다. 기운을 생성하는 띠들을 해당 오행 국(局)에 속한다고 하기도 하는데, 원숭이띠(신:申), 쥐띠(자:子), 용띠(진:辰)를 수국(水局)에, 돼지띠(해:亥), 토끼띠(묘:卯), 양띠(미:未)를 목국(木局)에, 뱀띠(사:巳..
풍수지리 입문자편5. 9층 패철(나경)에서 2층의 명칭과 사용법
2층 팔로사로황천살패철에서 2층은 팔로와 사로가 있는 층으로 묘지의 향(向)에 따른 황천풍과 황천수를 살피는데 사용됩니다. 묘의 향에 따른 2층의 방위를 황천향이라 하며, 묘지를 쓸 때 이 황천향에 황천풍과 황천수가 있으며 피하면 됩니다. 팔로는 십천간 중 갑(甲), 을(乙), 병(丙), 정(丁), 경(庚), 신(辛), 임(壬), 계(癸) 8가지이며 사유로도 불리는 사로는 건(乾), 곤(坤), 감(坎), 손(巽) 4가지를 말합니다.(무(戊), 기(己) 오행방위에서 중앙을 의미하므로 팔로에서는 빠집니다)앞서 1층을 설명할 때도 언급하였는데, 황천풍은 봉우리 사이 산이 꺼져(주위보다 낮아) 드나드는 바람, 황천수는 물길에 따라 흐르는 물을 말하며, 황천풍과 황천수가 있으며 대표적인 좋지 않은 묘입니다.좌향(..
풍수지리 입문자편4. 9층 패철(나경)에서 1층의 명칭과 사용방법
1층 팔요황천살(용상팔살)패철에서 1층은 8칸으로 나뉘어 있는데 각각의 칸은 진술(辰戌), 인(寅), 신(申), 유(酉), 해(亥), 묘(卯), 사(巳), 오(午)입니다. 음택(묘지) 풍수에서 패철의 1층은 묘의 좌(坐)에 따른 황천풍과 황천수를 살피고 입수에 따른 묘의 향(向)을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팔요황천살 또는 용상팔살이라불립니다.팔요황천살팔요황천살은 묘의 좌(坐)에 따른 황천풍과 황천수를 살피는 것으로 황천풍은 봉우리 사이 산이 꺼져(주위보다 낮아) 드나드는 바람, 황천수는 물길에 따라 흐르는 물을 말합니다. 황천풍과 황천수가 있으며 대표적인 좋지 않은 묘입니다.황천풍과 황천수를 찾는 방법은 황천풍은 패철의 6층을, 황천수는 패철의 8층을 보면 되는데, 예를 들어 아래의 경우 묘의 좌(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