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수지리의 모든 것/풍수와 수맥

(25)
풍수지리 입문자편12. 9층 패철(나경)에서 9층의 명칭과 사용법, (지반정침) 120분금 9층 (지반정침) 120분금 9층 패철에서 마지막 층인 9층 지반정침 120분금은 24개의 칸이 있는 지반정침을 5칸으로 나눈 것(24X5=120)으로 마지막 마무리 작업으로 좌향의 미세한 조정을 하는 곳이라 보면 됩니다.  120분금이라는 이름처럼 총 120칸으로 나눠져 있는데, 모든 칸이 채워져 있지는 않고 1개의 지반정침을 5개로 나눈 칸 중 3칸은 비어있고 2칸은 채워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칸들은 십천간 중 병(丙), 경(庚), 정(丁), 신(申) 4자와 십이지지 12자가 조합되어 채워져 있습니다.이 층은 망자의 사주오행에 따라 상생과 상극을 고려할 때 사용하는 층으로 예를 들어 망자의 좌(坐)가 오(午) 방위로 결정되었을 때 사주오행의 상생상극에 따라 경오(庚五) 방향이 나을지, 병오(丙午) ..
풍수지리 입문자편11. 9층 패철(나경)에서 8층의 명칭과 사용법, 천반봉침 8층 천반봉침9층 패철에서 8층 천반봉침은 물의 흐름을 살피는 층입니다. 8층 천반봉침은 4층 지반정침과 6층 인반중심과 동일하게 24칸으로 나눠져 있는데, 구성 또한 동일하게 십이지지 12자와 십천간 중 방위에서 중심을 의미하는 무(戊), 기(己)를 제외한 8자, 사유 자인 건(乾), 곤(坤), 간(艮), 손(巽) 4자가 모여 총 24자가 모여있습니다. 십이지지 12자 :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십천간 중 8자 : 갑(甲). 을(乙), 병(丙), 정(丁),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사유 글자 4자 : 건(乾), 곤(坤), 간(艮), 손(巽)  그리고 풍수에서 물은 양이오 산은 음으로,..
풍수지리 입문자편10. 9층 패철(나경)에서 7층의 명칭과 사용법, 투지60룡 7층 투지60룡9층 패철에서 7층 투지60룡은 혈장 뒤쪽 입수에서 혈까지의 길흉을 살피는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5층 천산72룡이 현무봉(과협처)에서 입수까지의 내룡에 대한 길흉이라면 투지60룡은 그 뒤의 길흉을 살피는 층이라 보면 됩니다.  내용은 천산72룡과 동일하게 60갑자가 적혀 있는 층으로 위상은 천산72룡보다 1.5칸(9도) 역행하고 있습니다. 투지60룡은 주룡의 생기(生氣)가 혈(穴)에 전달되는 과정을 살피는 층으로 화갱살요공망맥(火坑煞曜空亡脈)은 피하고 주보왕생맥(珠寶旺生脈)을 혈의 광중에까지 입맥시켜 재혈을 올바르게 하는데 사용됩니다. 자연 그대로를 측정하는 천산72룡과 달리 투지60룡은 임의로 조정이 가능하므로 길격인 병자순(왕기맥)과 경자순(상기맥)으로 사용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풍수지리 입문자편9. 9층 패철(나경)에서 6층의 명칭과 사용법, 인반중침 6층 인반중침 9층 패철에서 6층 인반중침은 산의 지형을 살피는 층입니다. 6층은 24칸으로 나눠져 있는데, 4층 지반정침의 내용과 일치합니다. 십이지지 12자와 십천간 중 방위에서 중심을 의미하는 무(戊), 기(己)를 제외한 8자, 사유 자인 건(乾), 곤(坤), 간(艮), 손(巽) 4자가 모여 총 24자가 모여있습니다. ◎십이지지 12자 :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십천간 중 8자 : 갑(甲). 을(乙), 병(丙), 정(丁),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사유 글자 4자 : 건(乾), 곤(坤), 간(艮), 손(巽)  그리고 풍수에서 물은 양이오 산은 음으로, 6층 인반중침은 4층 지반..
풍수지리 입문자편7. 9층 패철(나경)에서 4층의 명칭과 사용법, 지반정침 4층 지반정침 4층 지반정침은 좌향(坐向)을 결정하는 중요한 층으로 패철의 중심이자 기초가 되는 층입니다. 4층은 십이지지 12자와 십천간 중 방위에서 중심을 의미하는 무(戊), 기(己)를 제외한 8자, 사유 자인 건(乾), 곤(坤), 간(艮), 손(巽) 4자가 모여 총 24자가 모여있는 층입니다.  십이지지 12자 :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십천간 중 8자 : 갑(甲). 을(乙), 병(丙), 정(丁),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사유 글자 4자 : 건(乾), 곤(坤), 간(艮), 손(巽) '0좌0향의 묘이다' 그렇다면 이 4층을 보고 어떤 좌향의 묘인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음택풍..
풍수지리 입문자편6. 9층 패철(나경)에서 3층의 명칭과 사용법, 삼합오행 3층 삼합오행 패철에서 3층은 삼합오행이 있는 층으로 입수와 득수, 파구를 고려한 묘의 위치를 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삼합오행이란 3가지 지지가 모여 오행의 기운을 생성하는 것으로 원숭이띠(신:申), 쥐띠(자:子), 용띠(진:辰)가 모여 수(水)의 기운을, 돼지띠(해:亥), 토끼띠(묘:卯), 양띠(미:未)가 모여 목(木)의 기운을, 뱀띠(사:巳), 닭띠(유:酉), 소띠(축:丑)가 모여 금(金)의 기운을, 호랑이띠(인:寅), 말띠(오:午), 개띠(술:戌)가 모여 화(火)의 기운을 생성합니다. 기운을 생성하는 띠들을 해당 오행 국(局)에 속한다고 하기도 하는데, 원숭이띠(신:申), 쥐띠(자:子), 용띠(진:辰)를 수국(水局)에, 돼지띠(해:亥), 토끼띠(묘:卯), 양띠(미:未)를 목국(木局)에, 뱀띠(사:巳..
풍수지리 입문자편5. 9층 패철(나경)에서 2층의 명칭과 사용법 2층 팔로사로황천살패철에서 2층은 팔로와 사로가 있는 층으로 묘지의 향(向)에 따른 황천풍과 황천수를 살피는데 사용됩니다. 묘의 향에 따른 2층의 방위를 황천향이라 하며, 묘지를 쓸 때 이 황천향에 황천풍과 황천수가 있으며 피하면 됩니다. 팔로는 십천간 중 갑(甲), 을(乙), 병(丙), 정(丁), 경(庚), 신(辛), 임(壬), 계(癸) 8가지이며 사유로도 불리는 사로는 건(乾), 곤(坤), 감(坎), 손(巽) 4가지를 말합니다.(무(戊), 기(己) 오행방위에서 중앙을 의미하므로 팔로에서는 빠집니다)앞서 1층을 설명할 때도 언급하였는데, 황천풍은 봉우리 사이 산이 꺼져(주위보다 낮아) 드나드는 바람, 황천수는 물길에 따라 흐르는 물을 말하며, 황천풍과 황천수가 있으며 대표적인 좋지 않은 묘입니다.좌향(..
풍수지리 입문자편4. 9층 패철(나경)에서 1층의 명칭과 사용방법 1층 팔요황천살(용상팔살)패철에서 1층은 8칸으로 나뉘어 있는데 각각의 칸은 진술(辰戌), 인(寅), 신(申), 유(酉), 해(亥), 묘(卯), 사(巳), 오(午)입니다. 음택(묘지) 풍수에서 패철의 1층은 묘의 좌(坐)에 따른 황천풍과 황천수를 살피고 입수에 따른 묘의 향(向)을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팔요황천살 또는 용상팔살이라불립니다.팔요황천살팔요황천살은 묘의 좌(坐)에 따른 황천풍과 황천수를 살피는 것으로 황천풍은 봉우리 사이 산이 꺼져(주위보다 낮아) 드나드는 바람, 황천수는 물길에 따라 흐르는 물을 말합니다. 황천풍과 황천수가 있으며 대표적인 좋지 않은 묘입니다.황천풍과 황천수를 찾는 방법은 황천풍은 패철의 6층을, 황천수는 패철의 8층을 보면 되는데, 예를 들어 아래의 경우 묘의 좌(坐)..
풍수지리 입문자편3. 풍수 기초 우리집 좌향 측정하기 좌향 측정하기풍수지리에서 해당 땅이 명당인지 아닌지만큼 중요한 것이 좌향입니다.좌향이라 함은 坐(앉을 좌)에 向(향할 향)을 사용하는데, 어디를 기준으로 어느 쪽으로 방향을 잡았는지에 대한 것으로, 음택(묘지) 풍수에서는 고인의 머리나 다리의 방향, 제단과 묘비의 위치를 정하고 양택(주택) 풍수에서는 문과 창의 위치와 집의 구조를 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좌향 측정하는 방법좌향을 측정하는 방법은 간단한데, 먼저 나침반 바늘(침)의 북쪽을 패철(나경)의 자(子)자와, 나침반 바늘(침)의 남쪽을 패철(나경)의 오(午)자와 일직선상에 위치시킵니다.(9층 패철 기준으로 4층에 있는 자(子)자와 오(午)자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나침반 바늘에는 남북에 따른 색표시가 되어 있는데 대개 적색이 북쪽으로 적색 부분(북쪽)..
풍수지리 입문자편2. 9층 기본 패철을 사용하기 위해 알아야 할 한자 31자 정리 풍수지리를 처음 입문하면 사용하게되는 9층 기본 패철 9층 기본 패철에는 1층 팔요황천살부터 9층 지반정침 120분금까지 총 9개의 층이 한자로 되어 있는데요. 과연 어떤 한자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한글로 되어 있는 패철도 있으나 대부분 강의나 실습에서 한자 패철을 사용하여 한자를 미리 익혀두면 좋습니다)  9층 패철에는 수백개의 칸이 있지만 사용되는 한자는 단 31자인데요. 31자의 한자는 십이지지(12개), 십천간(10개), 오행(5개), 건곤간손(팔괘)(4개)이며,자세한 한자는 아래 참고하시면 됩니다. 십이지지子(자) 丑(축) 寅(인) 卯(묘) 辰(진) 巳(사) 午(오) 未(미) 申(신) 酉(유) 戌(술) 亥(해)십천간甲(갑) 乙(을) 丙(병) 丁(정) 戊(무) 己(기) 庚(경) 辛(신) 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