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수지리의 모든 것/풍수와 수맥

풍수지리 입문자편11. 9층 패철(나경)에서 8층의 명칭과 사용법, 천반봉침

8층 천반봉침

9층 패철에서 8층 천반봉침은 물의 흐름을 살피는 층입니다. 8층 천반봉침은 4층 지반정침과 6층 인반중심과 동일하게 24칸으로 나눠져 있는데, 구성 또한 동일하게 십이지지 12자와 십천간 중 방위에서 중심을 의미하는 무(戊), 기(己)를 제외한 8자, 사유 자인 건(乾), 곤(坤), 간(艮), 손(巽) 4자가 모여 총 24자가 모여있습니다.


십이지지 12자 :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십천간 중 8자 : 갑(甲). 을(乙), 병(丙), 정(丁),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사유 글자 4자 : 건(乾), 곤(坤), 간(艮), 손(巽)

 

 

그리고 풍수에서 물은 양이오 산은 음으로, 8층 천반봉침은 4층 지반정침에서 1/2칸씩(7.5도씩) 순행에 있습니다.(반대로 6층 인반중침은 산의 지형을 살피는 층으로 4층 지반정침에서 1/2칸씩(7.5도씩) 역행해 있으며, 8층 천반봉침을 기준으로는 1칸씩(15도씩) 역행해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예를 들어 좌(坐)가 오(午) 방향인 묘를 쓰고자 할때 1층 팔로사로황천살에 적혀있는 해(亥)를 8층 천반봉침에서 찾고 이 방위에 황천수가 없는지 살피는데 사용됩니다.

 


그 외에도 물의 흐름을 살피는 다양한 역할들이 있는데 이는 더 심화 과정에서 학습하시면 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