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초의 무극의 상태에서 음과 양이 나뉘었고 이 음과 양의 기운이 세상 만물을 구성하는 5개의 성질과 만나 세상이 탄생했다는 음양오행설, 이 음양오행설은 동양철학의 근간인 만큼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쳤는데요.
우리가 해를 세는 60갑자에도 이 음양오행의 가치가 녹아 있으며 그 나름의 의미를 우리 조상들은 정리하여 세상을 깨우치는데 사용하였습니다.
60갑자는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로 구성되며, 10개의 천간은 순서대로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이고 12개의 지지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입니다.
그리고 각각의 기운과 오행 속성은 아래와 같은데요.
<천간>
<지지>
좀더 자세히 알아보면 각각은 아래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갑(甲)은 세상 만물의 시작, 대성할 자질 즉 큰나무를 상징
을(乙)은 세상에 처음 발 딛는 새싹을 상징
병(丙)은 열정과 생동감 큰 에너지를 상징
정(丁)은 따뜻함과 포근함을 상징
무(戊)는 대지의 포용과 안정 무한한 가능성을 상징
기(己)는 성숙과 안정, 풍요와 여유를 상징
경(庚)은 가공되지 않은 강인한 철을 상징
신(辛)은 세련되고 잘 제련된 금속을 상징
임(壬)은 큰 시대적 흐름이자 강의 본류를 상징
계(癸)는 작고 넓게 퍼지는 얕은 물줄기를 상징
자(子)은 충분한 물
축(丑)은 촉촉한 땅
인(寅)은 큰나무
묘(卯)는 작은 나무
진(辰)은 촉촉한 땅
사(巳)은 따뜻한 불
오(午)는 강한 빛과 불
미(未)는 메마른 땅
신(申)는 큰 금속
유(酉)는 작은 금속
술(戌)는 메마른 땅
해(亥)는 얕은 물
오행은 각각 상징하는 색상이 있는데요. 우리는 그해를 말할 때 천간의 오행이 상징하는 색과 지지가 상징하는 동물로 그해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2023년 계묘(癸卯)년의 계(癸)는 물(수:水)의 성질을 갖고 있으며 오행에서 수(水)는 검은색을 의미하여 우리는 2023년을 검은 토끼의 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2024년 갑진(甲辰)년의 경우 갑(甲)이 나무(목:木)의 성질을 갖고 있고 목(木)은 푸른색을 의미하여 푸른 용의 해가 됩니다.
그리고 2022년부터 2024년까지를 위의 의미를 가져와 해석해 보면 2022년 임인(壬寅)년은 시대가 바뀌고 새로운 성장이 이뤄지는 시기라고 볼 수 있으며, 2023년 계묘(癸卯)년은 새로운 시작의 싹이 널리 퍼지는 시기라고 해석할 수 있고 2024년 갑진(甲辰)년은 촉촉한 땅 위에 나무가 우뚝 솟는 시기라고 해석할 수 있는 것입니다.
-2022년 임인년-
임(壬)은 큰 시대적 흐름이자 강의 본류를 상징
인(寅)은 큰나무
-2023년 계묘년-
계(癸)는 작고 넓게 퍼지는 얕은 물줄기를 상징
묘(卯)는 작은 나무
-2024년 갑진년-
갑(甲)은 세상 만물의 시작, 대성할 자질 즉 큰나무를 상징
진(辰)은 촉촉한 땅
'풍수지리의 모든 것 > 사주와 음양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양으로 바라보는 우리 세상, 양의 기운을 상징하는 것과 음의 기운을 상징하는 것에는 무엇이 있을까? (0) | 2023.07.16 |
---|---|
띠별 궁합 총정리, 천간과 지지의 충과 합 (0) | 2023.07.14 |
천간과 지지 육십갑자 계산법, 올해에 띠와 해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0) | 2023.07.14 |
역학(易學)의 기원, 역학이란? (0) | 2023.07.13 |
100가지 재미있는 점괘가 들어있는 점통, 매일 운세 보기 (0) | 2023.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