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물 산가지 50개
산가지 : 과거 셈을 할 때 사용하던 나무 막대
1. 먼저 50개의 산가지 중 하나를 빼 중앙에 가로로 놓습니다.(위, 아래 산가지을 나누고 뽑은 산가지를 올려두는 용도입니다. 만약 사진처럼 받침대가 따로 있다면 따로 사용할 필요 없이 빼시면 됩니다)
2. 남은 49개의 산가지는 둘로 나누어 왼손에 쥔 것은 위에, 오른손에 쥔 것은 아래 가로로 놓습니다.
3. 위쪽의 산가지 하나를 뽑아 중앙에 가로로 놓인 산가지 또는 받침대 중앙에 세로로 놓습니다.
4. 위쪽의 산가지를 4개씩 빼다 개수가 4개 이하가 되면 중앙에 놓인 산가지 또는 받침대 왼쪽에 두고 나머지는 원래 자리에 둡니다.
5. 아래쪽의 산가지도 위의 과정을 동일하게 반복하여 개수가 4개 이하가 되면 중앙에 놓인 산가지 또는 받침대 오른쪽에 둡니다.
6. 세로로 세워진 산가지를 모두 더하면 무조건 5개 또는 9개가 되는데, 그러면 자연스레 남은 산가지는 44개(49개-5개) 또는 40개(49개-9개)가 됩니다. 세로로 세워진 산가지는 빼고 남은 산가지로 위의 2번~5번 과정을 반복합니다.
7. 한차례 반복하고 나면 세로로 세워진 산가지는 4개 또는 8개가 되며, 남은 산가지는 40개 또는 36개 또는 32개가 됩니다. 다시 한번 세로로 세워진 산가지는 빼고 남은 산가지로 위의 2번~5번 과정을 반복합니다.
8. 최종적으로 남은 산가지는 36개 또는 32개 또는 28개 또는 24개가 됩니다.
9. 남은 산가지에 따라 양효, 음효를 정합니다.(위의 예시에서는 남은 산가지가 32개로 숫자 8, 소음에 해당합니다)
만약 남은 산가지가 36개인 경우 4개씩 9번 덜어낼 수 있는 양으로 숫자 9에 노양(老陽)이 되며, 양효가 됩니다.
만약 남은 산가지가 32개인 경우 4개씩 8번 덜어낼 수 있는 양으로 숫자 8에 소음(少陰)이 되며, 음효가 됩니다.
만약 남은 산가지가 28개인 경우 4개씩 7번 덜어낼 수 있는 양으로 숫자 7에 소양(少陽)이 되며, 양효가 됩니다.
만약 남은 산가지가 24개인 경우 4개씩 6번 덜어낼 수 있는 양으로 숫자 6에 노음(老陰)이 되며, 음효가 됩니다.
10. 초효>>2효>>3효>>4효>>5효>>상효 순으로 뽑으면 되며, 위 과정을 총 6번 반복하시면 됩니다.
<효를 변화시키는 법>
1. 뽑은 양효와 음효 옆에는 숫자를 함께 기입해 주셔야 하는데 위의 4가지 경우에 따라 숫자는 6~9까지 기입이 가능합니다.
2. 기입된 숫자를 모두 더하면 최소 36에서 최대 54까지 나오는데, 그 숫자에 따라 바뀌는 효는 아래와 같습니다.
36 = 꼭대기 효(상효)
37 = 꼭대기 효(상효)
38 = 5번째 효(5효)
39 = 4번째 효(4효)
40 = 3번째 효(3효)
41 = 2번째 효(2효)
42 = 첫번째 효(초효)
43 = 첫번째 효(초효)
44 = 2번째 효(2효)
45 = 3번째 효(3효)
46 = 4번째 효(4효)
47 = 5번째 효(5효)
48 = 꼭대기 효(상효)
49 = 꼭대기 효(상효)
50 = 5번째 효(5효)
51 = 4번째 효(4효)
52 = 3번째 효(3효)
53 = 2번째 효(2효)
54 = 첫번째 효(초효)
3. 만약 바뀌는 효가 소양이나 소음일 경우 소양은 소음으로 소음은 소양으로 바꿔 괘를 점치시면 되며, 바뀌는 효가 노양이나 노음일 경우 굳이 바꾸지 않고 점을 치시면 됩니다.
.
'풍수지리의 모든 것 > 사주와 음양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쉽게 치는 주역점 비법 고객 만족 높이는 방법 (0) | 2023.02.20 |
---|---|
동전점 엽전점 치는 방법 운세풀이, 주역점 역점 (0) | 2023.02.14 |
팔괘 서죽으로 점치는 법(육효 서죽, 팔괘 서죽, 8개 서죽으로 점 치는 법) (0) | 2023.02.13 |
주사위로 점 치는 법 육효 주사위 역점 주사위 사용법 점술용 주사위 (0) | 2023.02.10 |
주역(周易)의 기본이 되는 효(爻)와 팔괘(八卦) 사용법, 점치는 방법 (0) | 202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