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풍수지리 입문자편8. 9층 패철(나경)에서 5층의 명칭과 사용법, 천산72룡

5층 천산72룡

5층 천산72룡은 지반정침 아래 있는 층으로 24칸의 지반정침을 3칸씩 나눠 총 72칸으로 나눠져 있는 층입니다. 60갑자가 적혀 있는 층으로 모든 칸에 글이 적혀 있지는 않습니다. 지반정침의 십이지지를 중심으로 60갑자 중 5개씩 채워져 있는데(12X5=60), 십이지지(12칸) 아래에는 3개 칸이, 팔천간(8칸)과 사유(4칸) 아래에는 2개 칸이 채워져 있습니다.(12X3+(8+4)X2=60)

 

천산(穿山)이란 주산으로부터 혈자리 끝까지 내려오는 용(룡)을 더 세분화한 것으로 패철의 5층은 천산72룡을 통해 생기가 어느 맥을 뚫고 오는가를 좀더 자세히 측정해서 길흉을 판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용(룡):명당의 조건이자 생기가 흐르는 곳

◎입수룡:용(룡)이 들어오는 곳

◎용맥(龍脈):용(룡)이 흐르는 곳

 

예를 들어 만약 용이 지반정침의 자(子)를 통해 들어온다면 그중에서도 병자(丙子)로 들어오는지, 무자(戊子)로 들어오는지, 경자(庚子)로 들어오는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들어오는 용의 위치에 따라 터의 길흉이 결정되며, 위치에 따른 길흉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자 (子) 축 (丑) 인 (寅) 묘 (卯) 진 (辰) 사 (巳) 오 (午) 미 (未) 신 (申) 유 (酉) 술 (戌) 해 (亥) 길흉
갑자순 냉기맥 갑자 (甲子) 을축 (乙丑) 병인 (丙寅) 정묘 (丁卯) 무진 (戊辰) 기사 (己巳) 경오 (庚午) 신미 (辛未) 임신 (壬申) 계유 (癸酉) 갑술 (甲戌) 을해 (乙亥) 소흉
병자순 왕기맥 병자 (丙子) 정축 (丁丑) 무인 (戊寅) 기묘 (己卯) 경진 (庚辰) 신사 (辛巳) 임오 (壬午) 계미 (癸未) 갑신 (甲申) 을유 (乙酉) 병술 (丙戌) 정해 (丁亥) 길격
무자순 패기맥 무자 (戊子) 기축 (己丑) 경인 (庚寅) 신묘 (辛卯) 임진 (壬辰) 계사 (癸巳) 갑오 (甲午) 을미 (乙未) 병신 (丙申) 정유 (丁酉) 무술 (戊戌) 기해 (己亥) 대흉
경자순 상기맥 경자 (庚子) 신축 (辛丑) 임인 (壬寅) 계묘 (癸卯) 갑진 (甲辰) 을사 (乙巳) 병오 (丙午) 정미 (丁未) 무신 (戊申) 기유 (己酉) 경술 (庚戌) 신해 (辛亥) 길격
임자순 퇴기맥 임자 (壬子) 계축 (癸丑) 갑인 (甲寅) 을묘 (乙卯) 병진 (丙辰) 정사 (丁巳) 무오 (戊午) 기미 (己未) 경신 (庚申) 신유 (辛酉) 임술 (壬戌) 계해(癸亥) 소흉
대공망 공망맥                          


아래 패철에서는 색이 칠해진 방향이 길격이며, 길격 사이의 방향이 대흉, 색이 칠해진 바깥 부분이 소흉입니다. 아무것도 적히지 않은 곳은 대공망으로 대흉보다 좋지 않은 터이니 절대 묘터로 해서는 안되는 곳입니다. 

 

위의 이미지처럼 용이 경자(庚子)를 지나 들어온다면 길격의 터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