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의 모든 것/사주와 음양오행

년주 세우기, 만세력 없이 년주 뽑는 방법

풍문당 2023. 7. 17. 17:14

1984년은 갑자년이며, 순서대로 을축년, 병인년, 정묘년입니다.

 

 


60갑자 순서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정묘(丁卯) 무진(戊辰) 기사(己巳) 경오(庚午) 신미(辛未) 임신(壬申) 계유(癸酉) 갑술(甲戌) 을해(乙亥) 병자(丙子) 정축(丁丑) 무인(戊寅) 기묘(己卯) 경진(庚辰) 신사(辛巳) 임오(壬午) 계미(癸未) 갑신(甲申) 을유(乙酉) 병술(丙戌) 정해(丁亥) 무자(戊子) 기축(己丑) 경인(庚寅) 신묘(辛卯) 임진(壬辰) 계사(癸巳) 갑오(甲午) 을미(乙未) 병신(丙申) 정유(丁酉) 무술(戊戌) 기해(己亥) 경자(庚子) 신축(辛丑) 임인(壬寅) 계묘(癸卯) 갑진(甲辰) 을사(乙巳) 병오(丙午) 정미(丁未) 무신(戊申) 기유(己酉) 경술(庚戌) 신해(辛亥) 임자(壬子)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 병진(丙辰) 정사(丁巳) 무오(戊午) 기미(己未) 경신(庚申) 신유(辛酉) 임술(壬戌) 계해(癸亥)


 

년주는 한해의 시작인 입춘을 기준으로 합니다. 흔히 사주를 계산할 때 1년의 기준을 양력 1월 1일이나 음력 1월 1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사주에서 년주는 24절기 중 입춘을 기준으로 하는데요. 예를 들어 2023년 기묘년과 2022년 임인년의 경계는 양력 2023년 1월 1일 또는 음력 2023년 1월 1일(양력 2023년 1월 22일)이 아닌 입춘일인 양력 2023년 2월 4일이 되고 그에 따라 2023년 2월 3일생은 임인년생 호랑이띠가, 2023년 2월 4일생은 기묘년생 토끼띠가 됩니다.


정확히 하려면 입춘은 태양이 황경 315º를 지나는 순간으로, 한국천문연구원이나 기상청 발표를 의하면, 2023년 입춘은 2월 4일 오전 11시 43분이고 이에 따라 2023년 2월 4일 11시 42분생까지는 임인년생 호랑이띠가 되고 2023년 2월 4일 11시 43분생 이후부터는 기묘년생 토끼띠가 됩니다. 다만 년주를 계산할 때 시간까지 고려하지는 않아 2월 4일 전후로 태어나신 분은 태어난 해의 입춘일만 잘 계산해 주면 사주를 보는데 무리는 없습니다.

 

728x90